워드프레스를 이용하여 홈페이지를 운영하다보면 다양한 크고 작은 오류들을 마주하게 됩니다. 그 중에서 플러그인을 새로 설치하고 활성화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문제나 오류가 생길 수 있습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 미디어 라이브러리 무한 로딩 오류에 대해 알아보고 object-cache.php 파일을 삭제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디어 라이브러리 무한 로딩 오류

글 발행 마무리에서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려고 미디어 라이브러리를 클릭하였더니, 위와 같이 로딩만 계속되고 사진들이 보이질 않습니다.

그와 동시에 이런 문구의 오류가 뜨는 것을 확인하셨다면, W3 Total Cache 플러그인을 설치하면서 생겨난 object-cache.php 파일 때문일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이것을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디어 라이브러리 무한 로딩 오류 원인

이 미디어 라이브러리 무한 로딩 오류가 생긴 시점을 따져본 결과, 캐시 플러그인으로 W3 Total Cache 플러그인을 쓰다가 LiteSpeed Cache로 사용을 교체하면서 문제가 생겼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러면서 다음 문구의 오류가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에 뜨기 시작했고요. 이 object-cache.php에 대해 알아본 결과 W3 Total Cache 플러그인을 설치하면서 같이 생성되는 파일이었습니다. 이 플러그인을 비활성화하고 삭제했더라도 남은 드롭인 플러그인이었던 object-cache.php 파일이 새로운 캐시 플러그인과 충돌로 문제를 일으켰던 것입니다.
이 드롭인 플러그인 파일을 삭제하면 문제가 해결이 됩니다.
미디어 라이브러리 무한 로딩 오류 해결 방법
1.드롭인 플러그인이란
일단 이 문제에 대해 해결하려면 드롭인 플러그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드롭인 플러그인이란 제한된 고급 코더 워드프레스 기능을 추가 또는 향상시키도록 사용되는 워드프레스의 기능입니다.
다른 일반 플러그인과 다르게 관리자 페이지에서는 비활성화 또는 삭제가 어렵고, 서버 관리로 들어가 해당 파일 디렉토리로 들어가 삭제를 해야 한다는 점이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advanced-cache.php나 maintenance.php 드롭인 플러그인이 워드프레스에 설치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오늘 우리가 확인해야 할 드롭인 플러그인은 object-cache.php입니다.
2. 서버 관리 접속, 파일매니저 접속
웹 호스팅을 통하여 서버를 운영하고 있다면, 해당 웹 호스팅이 제공하는 cPanel에 들어가 파일매니저로 파일에 접근하는 방법이 있으며, FTP를 이용하여 서버 접속을 할 수도 있습니다.

저는 패스트코멧이라는 웹 호스팅 업체의 cPanel을 통하여 파일에 접근하였습니다. cPanel에 들어가줍니다. 다른 웹 호스팅을 이용하더라도 웬만하면 cPanel 기능을 제공하기에 같은 맥락으로 방법을 파악하시면 되겠습니다.

cPanel 도구들 중 File Manager를 찾아 클릭합니다.

보통 object-cache.php는 public_html/wp-content에 위치해 있습니다. 해당 디렉토리로 설정한 다음, 검색을 해서 찾을 수 있습니다.

파일 검색 기능을 통해 다음 빨간색 박스의 경로로 된 object-cache.php 파일을 선택합니다.
3.object-cache.php 파일 삭제


파일을 선택한 뒤, Delete 버튼을 눌러 파일을 삭제해주시면 됩니다. 삭제해도 무방한 이유가 현재는 W3 Total Cache가 아닌 다른 캐시 플러그인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4.미디어 라이브러리 확인

다시 미디어 라이브러리에 들어가보면 귀신같이 이미지가 정상적으로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론: 캐시 플러그인 충돌 문제
결론을 짓자면, 이 미디어 라이브러리 무한 로딩 오류가 나타나는 것도 역시 비슷한 기능을 담당하는 플러그인 사이의 충돌 문제라는 것을 유추해볼 수 있었습니다. 워드프레스 홈페이지를 운영하며 가장 많이 생기는 문제이기에 가장 먼저 고려해보면 빠르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길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문제가 발생하면, 먼저 문제 발생시점을 파악한 뒤 설치했거나 사용 교체를 한 플러그인을 파악하여서 서로 충돌을 일으키고 있는 플러그인 파일을 파악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워드프레스 관련 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