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인 요청이란?

색인(Indexing)이란 구글, 네이버, 빙과 같은 검색 엔진이 웹사이트의 페이지 데이터를 크롤링한 후, 이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뒤에 사용자가 검색했을 때 관련된 해당 페이지가 검색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입니다. 구글은 웹 크롤러를 하는 구글 봇을 이용하여 웹사이트를 탐색하고, 새로 업데이트된 사이트 페이지 또는 콘텐츠가 있다면 찾아내어 검색 엔진에 추가합니다.
색인 완료된 페이지는 구글 검색 결과에서 관련된 키워드 검색 시 사이트를 노출시킬 수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색인 요청이 가지는 효과
1.검색 결과에 나타날 기회가 증가

색인이 된 페이지는 구글 검색 결과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특히 새로 업데이트된 콘텐츠일수록 검색 엔진에 빠르게 노출되어야 많은 방문자 트래픽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색인이 되어 있지 않은 페이지는 노출될 가능성이 아예 없기 때문에 색인이 되는 것은 많은 방문자를 가져오기 위하여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2.최신 정보 제공
초기에는 검색 엔진의 로봇이 사이트의 데이터를 빠르게 수집하고 색인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꾸준한 콘텐츠 발행과 유익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다보면 색인이 되기 시작하는데요. 한 번 색인이 잘 되기 시작하면 추후에 등록되는 콘텐츠는 신속히 검색 엔진에 반영될 수 있습니다. 그럼 자연스럽게 방문자들에게 최신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게 됩니다.
3.SEO 점수 향상
색인되지 않은 페이지는 검색 엔진에서 당연히 배제됩니다. 여기서 색인 요청을 하면 웹사이트가 최신 상태로 관리되고 있다는 신호를 검색 엔진에 전달합니다. 그 결과 검색 엔진 봇의 알고리즘에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SEO 최적화가 이루어져 검색 엔진에서 상위 노출을 점할 수 있게 됩니다. 자연스럽게 방문도 증가하면서 더 좋은 웹사이트로 인식됩니다.
색인 요청을 해야 하는 이유

웹사이트나 블로그를 초기 운영하는 많은 분들이 글을 그저 잘 쓰면 글이 자동적으로 검색 엔진에 잘 노출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초기 생성된 웹사이트에서 발행된 콘텐츠가 바로 검색 엔진에 노출되고 인식되기는 쉽지 않습니다. 자동으로 색인이 되기까지 기다리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인 루트가 될 수 있습니다. 빠른 색인을 통해 검색 엔진에서 노출되기 시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죠.
특히, 수동적으로 색인을 직접해야 하는 몇 가지 상황이 있는데요. 신규 콘텐츠를 발행하였을 때 또는 대규모 업데이트 시에 색인을 요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구글이 자동적으로 크롤링하기까지 기다리기보다는 색인 요청을 통해 빠르게 변경사항을 반영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트래픽을 더 빠르게 유도할 수 있습니다.
또, 페이지를 수정하였다면 다시 색인을 함으로써 구글 검색 엔진에 수정된 내용을 빠르게 반영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전 버전의 페이지가 아닌 새롭게 수정된 페이지의 내용이 검색 결과에 나타나게 됩니다.
구글 서치 콘솔에서 색인 요청하는 방법
오늘은 구글 서치 콘솔을 통한 색인 요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글 서치 콘솔은 웹사이트의 SEO를 관리하고 모니터링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이기에 자주 접속하고 사용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1.구글 서치 콘솔 접속

웹사이트를 색인 요청하기 전에 먼저 해야 할 것은 구글 서치 콘솔에 내 사이트를 등록하고 사이트맵을 제출해야 합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사이트 등록과 사이트맵 제출을 완료하시길 바랍니다.
2.색인된 페이지 확인

구글 서치 콘솔에 사이트 등록을 완료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뜨실 겁니다.

여기서 색인 생성 > 페이지 메뉴에서는 현재 색인 생성이 된 페이지와 아직 색인되지 않은 페이지를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초록색으로 된 부분은 색인이 된 페이지이고, 회색은 색인 되지 않은 페이지입니다.
3.URL 검사 도구 이용

여기서 URL 검사를 클릭하여서 검색창에 색인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페이지 URL을 입력해줍니다.

URL을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위와 같이 구글 색인에서 해당 페이지의 데이터를 가져옵니다.
4. 실제 URL 테스트

그러면 해당 페이지가 아직 Google 검색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뜹니다. 이 경우 실제 URL 테스트를 눌러서 색인을 요청할 수 있는지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초록색 체크가 뜨며 URL을 Google에 등록할 수 있음 이라는 문구가 뜨면 색인 생성을 요청할 수 있는 것입니다.
5.색인 요청하기

오른쪽의 색인 생성 요청을 클릭하면 색인 요청이 완료됩니다. 닫기를 눌러 완료하면 끝입니다. 색인 요청이 완료되었더라도 페이지를 수정하거나 업데이트할 경우 색인 요청을 다시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수정된 사항들을 반영하여 검색 엔진에 표시하기 위함입니다.
색인 요청이 완료된 후에는 몇 시간에서 몇일 내로 구글 검색 결과에 반영됩니다. 진행 결과는 서치 콘솔에서 해당 페이지의 색인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색인 요청의 의의

색인 요청은 웹사이트의 콘텐츠가 구글 검색 엔진에 표시되기 위해 꼭 필요한 과정 중 하나입니다. 특히 새롭게 개설된 웹사이트나 페이지같은 경우, 자동적으로 로봇이 색인을 진행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마냥 자동적으로 색인이 되기를 기다리는 것보다는 색인 요청을 하여서 빠르게 검색 엔진에 등록이 되는 것이 더 빠르고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그 결과로 트래픽을 유도하고 검색 엔진 최적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